🎙️증원 문제는 다시 논의하겠지?
💬한국 사회가 의사가 부족하냐는 질문에는 한마디로 답하기가 어려워. 분석과 입장이 다 달라. 우리나라 의사 10명 중 3명이 미용 성형을 해. 혈액종양내과 의사가 없는 지역도 있고, 빅5병원에 뇌수술할 의사가 없어 뇌출혈로 쓰러진 간호사가 죽기도 했어. 하지만 도심에 보면 얼마나 의사가 많아. 건물이 통째로 병원인데도 있어.
🎙️특정 분야 의사만 많다?
💬과잉과 과소는 지역 간의 배치 문제, 시스템의 문제야. 모든 의사가 똑같은 치료를 한다고 가정하고 의사가 부족하다, 많다는 숫자를 얘기하는 건 무의미하지.
🎙️수급추계위를 이달 말까지 구성한다고 해.
💬이런 형식은 처음이지만 이전에도 협의체들이 여러 가지 논의를 해왔어. 공급자 단체(의사)가 포함된 협의체다 보니까, 당연히 합의를 이끌어내기 힘들어.
🎙️이번에도 쉽지 않겠네.
정부가 숫자 문제에 집착하기보다는 시장 시스템을 바꾸는 게 필요해. 공공의료기관이 5% 밖에 안 되고, 건강보험 보장성도 OECD 국가 중 최저고, 비급여가 만연한 시스템을 바꾸는 데 집중하는 게 훨씬 유익할 거야.
🎙️먼저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
💬지역마다 병원을 짓는다든가,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취하다든가 하면 의사협회도 그것 때문에 파업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거야. 그렇게 의료체계를 차근차근 공공적으로 바꿔나가는 시도를 할 수 있어. 물론 의사협회가 적자 덩어리 공공병원을 늘린다면서 반발할 수도 있겠지만.
🎙️이재명 정부의 의료 공약은 어떻게 봤어.
💬사실 공공의대 설립과 지역 의사제를 제외하면 문재인 정부보다 후퇴했고, 이재명 대통령의 2022년 공약보다 훨씬 후퇴했어.
🎙️어떤 점이?
💬윤석열 정부는 공공의대 신설을 공산주의라면서 반대했는데, 그것빼고는 윤 정부 의료 개혁안이랑 비슷해. 공공의료를 예를 들면, 이재명 대통령은 울산의료원 한 곳신설을 약속했어.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은 울산의료원에 추가로 인천 제2의료원 설립과 부산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를 공약했어.
🎙️다른 정책은 어때.
💬중증·희귀질환 지원 등 일부 건강보험 정책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내용이 들어가 있긴 해. 문재인 케어 때는 보장성 10%를 올리겠다고 하고, 비급여의 전면 급여화를 시도했거든. 결국 의사협회의 반대 때문에 MRI·초음파 이런 몇개만 급여화되었지만. 이재명 대통령 공약에는 이 정도로 뚜렷한 보장성 강화 항목이 안 보여.
🎙️그래도 복지부 장관 후보가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잖아.
💬장관이 공중보건 전문가고 공공의료를 신뢰한다고 하더라도 지금 복지부 구성이 그렇지 않아. 1차관은 윤석열 정부 연금개혁 앞장섰던 이고, 2차관은 박근혜 정부 때 의료민영화 앞장섰던 사람. 이번에 유임된 식약처장은 기업 규제 완화를 계속해오던 사람이야.
🎙️의사에 대한 국민 여론이 좋지 않아. 의사로서 뭘 하면 될까.
💬비상식적이고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것. 기존 복귀 의사나 의대생들 괴롭히지 않고, 내부 자정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먼저 제재를 하거나. 의대 증원 문제에서도 명분 없는 반대라기보다 공공적으로 늘려야 한다거나 건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 하지만 의사의 직업윤리 문제는 개개인의 성향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라 안 바뀔 거야. 공공의료 체계를 강화하고 영리성이 통제되는 시스템이 되지 않으면.
🎙️파업 금지 해야 되지 않냐는 말도 나와.
💬파업했다는 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명분 없는 파업을 하는 게 문제야. 영국에서도 의사들이 국가 보건 서비스(NHS)의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 파업해. 파업은 얼마든지 해야 하고 할 권리가 있어. 어쩌면 의무도 있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거야? 피해가 너무 큰데?
💬2014년 박근혜 정권 아래서 영리 자회사·원격의료에 반대하는 정의로운 파업을 했어. 생명을 담보로 하는 직종은 파업 하면 안 된다고 하는데, 그런 논리로 간호사도 철도도 화물도 파업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어. 하지만 파업을 불법으로 만든다 해서 의사가 파업을 못 하는 건 아니야. 이번 파업도 따지고 보면 불법 파업이야.
🎙️이제 끝이 아니라 시작인 거네.
💬코로나19를 지나면서 국민은 ‘의료서비스가 공적자원’이라는 생각이 강해졌어. 팬데믹 이전에는 국민 22.2%가 이후엔 67.4%가 그렇게 생각한대. 94.9%는 ‘의료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어. 정부는 국민이 지지할 만한 의료 개혁을 원칙있게 추진해야 하고, 시민도 계속 그 과정을 꼼꼼히 살펴봐야 해. |